학부활동
본 프로그램은 우리 학과 재학생들 대상으로 중국어의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 등의 실력 향상을 위해 학생들 간 멘토 조직을 결성하여 멘토를 중심으로 멘티들과 함께 진행하는 중국어 학습 활동이다.
∙대상: 중어중문학과 학부 재학생(복수전공생 포함), 중어중문학과 전공진입 희망생
∙시기: 매년 1학기와 2학기(약 12주), 하계 및 동계(약 8주~10주)
∙ 방식: 멘토 1명, 멘티 3~4명이 한 조로 구성되어 각 조별로 1주일에 1번 이상 자율적인 방식으로 중국어 학습 활동을 하고, 멘토와 멘티는 각각 1주 단위로 멘토링
보고서를 작성하여 4주차 혹은 5주차 단위로 모아서 제출함
∙지원 내용: 팀당 활동비와 멘토 활동비(매 학기 안내 공지 참조)
본 프로그램은 우리 학과 신입생과 진입생 대상으로 중국어 학습의 길잡이를 위해 1박 2일 동안 중국어 관련 수업 수강 설계, 다양한 특강, 학생들 간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각종 교류 활동으로 구성된 행사이다.
∙대상: 당해 학년도 중어중문학과 학부 신입생 및 진입생
∙ 시기: 매년 2월 말(1박 2일)
∙ 방식: 참가자들이 특정 장소에서 1박 2일 동안 숙식하며, 전체 혹은 조별 프로그램에 참여함.
∙지원 내용: 숙식비, 교류활동비
본 프로그램은 우리 학과 2학년 이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중국 문화 체험, 현지인과 중국어 소통을 통해 중국 문화와 중국어를 이해하는 시야를 넓히고, 함께 참여하는 학생들 간 유대 관계 형성으로 학생들의 소속감을 고취 시킬 수 있는 현지 체험 활동이다.
∙대상: 중어중문학과 2학년, 고학년과 복수전공생 신청 가능
∙시기: 매년 3월~4월 중 4박 5일(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방식: 참가자 약 20명이 인솔 교수의 지도 하에 매년 선정한 중국의 한 지역 일대를 탐방하고, 조별 미션을 수행함
∙지원 내용: 전체 비용 중 항공권, 비자, 여행자보험 비용은 학생 부담, 나머지는 학과 지원
본 프로그램은 본교 학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의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 등의 전반적인 실력 향상을 위해 원어민 강사에게 각 영역별로 단기간 집중 훈련을 받고, 중국 문화 체험과 조별 발표 등에 참여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행사이다.
∙대상: 본교 학부 재학생
∙시기: 8월 중 10일 전후 기간(매년 사정에 따라 개최 시기 변동될 수 있음)
∙내용:
– 모집공고 → 참가 신청(서류 제출, 세부 내용 공지사항 확인) → 면접 → 최종 선발
– 인문대학 내 강의실에서 진행(하루 6시간 정도)
– 초급, 중급, 고급 수준의 독해, 문법, 회화, 작문, 듣기 등의 교육과정 제공
– 강사진은 대부분 원어민들로 구성, 원어민 조교의 중국어 작문 과제 첨삭지도 제공
– 문화체험(다도, 태극권, 중국음식문화, 중국 영화 감상 등) 활동
– 조별 활동(중국어 연극, 연설 등의 발표)
본 프로그램은 고전문학에 관심 있는 본교 학부생들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과 동아시아 고전에 대한 교양 함양을 위해 인문대학 교수의 지도 하에 한문 고전 텍스트를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강독하며 익힐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대상: 본교 학부 재학생
∙시기: 8월에 개최(매년 사정에 따라 개최 시기 변동될 수 있음)
∙내용:
– 단기간 국내 특정 지역에서 약 10일 전후로 합숙하며 진행하거나, 온라인 강의 방식으로 진행함.
– 매년 교재 및 범위를 선정하여 3-4명의 교수님들의 지도하에 한문 문장 익힘
– 합숙하는 경우 문화유적지 답사, 지역 특산물 시식, 문화체험 활동 병행
화양연화(花樣年華)는 본교 학부 과정생 중 중국어 연극에 관심 있는 학생들로 구성된 중문극회 팀명이며, 매년 개최하는 인문대학 외국어 연극제에 참여하여 중국어로 공연하는 원어 연극 동아리이다.
∙참여 대상: 본교 학부 과정생 중 중국어 연극에 관심 있는 학생(중국어 실력과 무관함)
∙공연 시기: 매년 8월 말~9월 중
∙활동 순서: 연출진 확정 후 스텝 모집 → 오디션을 통한 배우 선발 → 활동 시작 → 모놀로그 리허설 및 모놀로그 공연 → 본 공연
∙역대 공연 작품
연도 | 외국어연극제 | 작품명 | 연도 | 외국어연극제 | 작품명 |
1995년 | – | 紅房間,白房間,黑房間 | 2011년 | 제15회 | 승관도(升官圖) |
1996년 | – | 红白喜事 | 2012년 | 제16회 | 숨겨야 산다(Out of Order) |
1997년 | 제1회 | 魔方 | 2013년 | 제17회 | – |
1998년 | 제2회 | 街上流行红裙子 | 2014년 | 제18회 | 인연(因緣),연인(戀人) |
1999년 | 제3회 | 紅房間,白房間,黑房間 | 2015년 | 제19회 | 허삼관:피의 의미(許三觀:血關) |
2000년 | 제4회 | 뇌우(雷雨) | 2016년 | 제20회 | 형제의 아수라장(兄弟之修罗场) |
2001년 | 제5회 | 버스정류장(车站) | 2017년 | 제21회 | 뇌우(雷雨) |
2002년 | 제6회 | 우리들(我们) | 2018년 | 제22회 | 암련도화원(暗戀桃花源) |
2003년 | 제7회 | 부친(父亲) | 2019년 | 제23회 | 버스정류장(车站) |
2004년 | 제8회 | 일출(日出) | 2020년 | 제24회 | – |
2005년 | 제9회 | 获虎之夜 | 2021년 | 제25회 | (화양연화 모놀로그만 진행) |
2006년 | 제10회 | 추국,소송 걸다(秋菊打官司) | 2022년 | 제26회 | 만약 내가 진짜라면(假如我是真的) |
2007년 | 제11회 | 달콤한 인생(甜蜜的人生) | 2023년 | 제27회 | 붉은 장미 흰 장미(红玫瑰白玫瑰) |
2008년 | 제12회 | 도덕적 도둑(道德的小偸) | 2024년 | 제28회 | 안녕, XX |
2009년 | 제13회 | 양산백과 축영대(梁山伯和祝英臺) |
|
|
|
2010년 | 제14회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