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중어중문학과는 중국의 언어와 문학, 사상과 문화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며, 동아시아 인문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미래의 지적 방향을 모색하는 학과이다.
1946년 개설된 이래, 우리 학과는 한국 인문학의 깊은 뿌리인 한문학 전통을 토대로 중국 고전문학에서 현대문학, 언어학, 사상과 문화 연구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학문적 지평을 구축해왔다.
초기에는 한문과 고전문학 중심의 교육과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반을 다졌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현대중국문학과 중국어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92년 한·중 수교를 계기로 중국학 연구의 중요성이 급격히 확대되었고, 이후 우리 학과는 중국의 사회·문화·사상 전반에 대한 학제적 탐구를 주도해왔다.
중어중문학과의 연구는 언어와 문학에 머물지 않고, 중국의 문화적 현상과 그 이면의 사유 체계를 함께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문학 분야에서는 고전시가, 산문, 소설, 희곡, 현대문학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 언어학 분야에서는 음운론, 문법론, 방언학, 문자학, 중국어 교육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또한 현대 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문화콘텐츠, 번역, 지역학, 비교문학, 인문학 기반의 융합 연구 등 새로운 학문적 영역으로도 적극 확장하고 있다.
우리 학과의 교육 목표는 단순한 언어 습득이나 문학 지식을 넘어서, 중국 문명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비판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학생들은 고전과 현대, 언어와 문학, 문화와 사회를 넘나드는 통합적 관점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문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과 중국의 상호 관계를 새롭게 조명한다.
우리 학과는 앞으로도 언어와 문학을 매개로 인간과 문명의 근원을 탐구하며, 동아시아 인문학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학문 공동체로 발전해 나가고자 한다.
깊이 있는 연구와 열린 교육을 통해, 세계 속에서 한국 인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연혁
1926
·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내 지나문학과(支那文學科) 설치. 한국 중국학 교육 시작
· 한국인 졸업생 9명 배출, 그중 5명이 학계 진출.
1946
· 서울대학교 개교와 함께 문리과대학 문학부에 ‘중국어중국문학과’ 신설(동숭동 캠퍼스).
· 이명선(중국문학) 교수 부임(학과 최초 교수)
· 정래동(중국문학), 김구경(서지학), 차상원(문학비평, 희곡, 1947~1948년 사범대학 → 1948년 문리과대학 중국어중국문학과로 소속 변경) 등 부임.
· 시간강사: 변영만, 권오돈, 이상은, 민태식, 성낙훈
1950~
1953
· 한국전쟁으로 교수진 및 학생 활동 중단. 부산 피난지에서 차상원 교수 단독으로 강의 지속.
1954~
1960s초
· 차주환(1954. 선진문학, 시·사), 장기근(1955. 소설, 현대문학), 김정록(1956. 현대문학) 교수 부임.
· 시간강사: 최창규, 조용욱, 박노태, 이원식, 장심현
· 전공 영역 세분화 시작(고전문학, 현대문학, 문법 등).
1959~
1968
· 김정록 교수, 1961년 미학과로 소속 변경
· 김학주, 이병한, 김시준 교수 타이완 유학 후 귀국, 새로운 연구 방법 도입. 타이완 학계와 교류 확대.
· 김학주(1965. 중국문학), 이병한(1967. 중국문학) 교수 부임
· 김시준(1967. 중국현대문학, 교양과정부), 최완식(1968. 기초과목, 중국문학, 교양과정부) 교수 부임
1975
· 동숭동에서 관악캠퍼스로 옮김
· 서울대 종합화 개편으로 문리과대학 문학부 소속 ‘중국어중국문학과’가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로 개편됨
· 학과 교수진 7명(차상원, 차주환, 장기근, 김학주, 이병한, 김시준, 최완식)으로 확대.
· 차상원 교수, 1975.8. 학과 최초 정년퇴직.
1980~
1989
· 장기근(1981. 성심여대 전출), 차주환(1986. 정년퇴직)
· 홍인표(1981. 중국문학), 허성도(1985. 중국어학), 서경호(1987. 중국신화, 고전소설), 이영주(1989. 시학(詩學)) 등 부임.
· 황계방(黃啓方, 국립대만대학교 교수) 1986.9. 학과 최초 초빙교수
· 현대중국문학 및 현대중국어·시학 등 학문 영역 확장.
1992
· 한·중 수교. 중국과의 학술·인적 교류 본격화.
1993~
1999
· 류종목(1993. 사(詞)문학) 부임
· 홍인표(1994. 4. 재직 중 작고)
· 오수형(1995. 중국 산문), 송용준(1997. 시가문학), 전형준(1999. 중국현대문학), 이강재(1999. 고대문법, 문헌학) 교수 등 부임.
· 안영희(安英姬, 연변대학 교수) 1994. 초빙교수(중국어 교육 담당)
· 최건(崔建, 연변대학 교수) 1995. 초빙교수(중국어와 중국언어학 담당)
· 고원동(高遠東, 북경대학 교수), 1996. 초빙교수(현대문학 담당)
· 안영희(安英姬), 1997. 초빙교수 부임.(중국어 강의 담당)
· 사문학·중국현대문학·언어학 교육 및 연구 활성
2000~
2013
· 이창숙(2003. 중국 희곡), 김월회(2003. 중국학술사상), Olivia Milburn(영국 학자. 2008. 중국 고대문헌학,) 이정훈(2010. 중국현대문학) 교수 부임.
· 서경호(2009. 3. 자유전공학부로 소속 변경, 자유전공학부 초대 학부장, 2017. 정년퇴직)
· 안영희 초빙교수(2012. 8. 정년 퇴직), 이연화(李蓮花, 2013) 초빙교수 부임(중국어 강의)
· 문화학·고대문헌학·현대문학 교육 및 연구 강화.
2014~
2019
· 허성도 (2014), 오수형(2017), 송용준(2017), 류종목(2018) 교수 정년퇴직
· 박정구(2014. 중국어학(통사론, 유형론)), 류준필(2017. 한중비교문학), 이옥주(2018. 중국어학(음성학, 음운학), 김진공(2019. 중국현대문학) 교수 부임.
· 이연화 초빙(강의)교수 사직(2017), 두염빙(杜艶冰, 2017. 9.~ 현재) 초빙교수 부임(중국어 강의)
· 중국어학, 한중비교문학, 음운학, 현대문학 등 영역 확대.
2020~
현재
· 이영주(2020), 전형준(2022) 교수 정년퇴직, Olivia Milburn(2022) 교수 사직
· 강민호(2021. 중국고전시가), 천진(2023. 중국현대문학) 교수 부임.
· 전통 시가와 현대중국문화 연구 심화. 학문 간 융합과 국제 학술교류 확대 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