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교수소개

김월회(金越會) 교수

Kim, Weol-Hoi

전공중국문학(중국학술사상)
주소인문대학 1동 428호
연락처(02) 880-5883
이메일xiaran@snu.ac.kr

1. 기본 정보

○ 박사학위논문: 20세기초 중국의 문화민족주의 연구(서울대학교, 2001. 2.)

○ 주요논문
  · ‘놂[游]’으로서의 순례―‘大長程 인문학’ 구축을 위한 현장법사의 西域 순례 다시 읽기, 『중국문학』, 제103집, 2020. 5. pp. 71-104.
  · 포스트휴먼과 죽음―공자, 장자, 도잠, 노신이 죽음을 대했던 태도와 현재적 쓸모, 『중국문학』, 제92집, 2017. 8. pp.149-172.
  · 정원의 시적 포착과 표현 양상—백거이(白居易) 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동서인문』, 제5호, 2016. 4, pp. 187-220.
  ·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from the Perspective of Empire: Narrative Configur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the Building of
    an Empire, Horizons, vol. 6, no. 1, ed. by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6. 30. pp.93-110

○ 주요저서
  · 김월회 지음, 『깊음에서 비롯되는 것들―삶터의 인문적 재구성』, 서울: 논형, 2019. 5.
  · 김월회 지음, 『춘추좌전―중국문화의 원형이 담긴 타임캡슐』, 서울: 풀빛, 2009. 5.
  · 김월회 지음, 『살아 움직이는 동양고전들』, 서울: 안티쿠스, 2007. 7.

○ 주요경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교무부학장(2018. 7. 23. ~ 2020. 7. 22.)

2. 연구 업적

 

○ 학위논문
  ∙ <章炳麟 文學理論 硏究>,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2.
  ∙ <20세기초 중국의 문화민족주의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


○ 학술지 수록 논문
  ∙ ‘놂[游]’으로서의 순례―‘大長程 인문학’ 구축을 위한 현장법사의 西域 순례 다시 읽기, 『중국문학』, 제103집, 2020. 5. pp. 71-104.
  ∙ 포스트휴먼과 죽음―공자, 장자, 도잠, 노신이 죽음을 대했던 태도와 현재적 쓸모, 『중국문학』, 제92집, 2017. 8. pp.149-172.
  ∙ “Pax Romana and Pax Sinica : Some Historical Aspects”, Horizons, vol. 7, no. 2, ed. by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12. 31. pp. 161-178.
  ∙ 정원의 시적 포착과 표현 양상—백거이(白居易) 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동서인문』, 제5호, 2016. 4, pp. 187-220.
  ∙ 조세프-마리 칼레리(Joseph-Marie Callery)의 『자성강목(字聲綱目): Systema Phoneticum Scripturae Sinicae』(1841년 간행)에 대한 기초적 고찰, 

    수원교회사연구소, 『교회사학』, 제12호, 2015. 12. 31. pp. 135-165
  ∙ China’s Route to Realizing a Universal Civilization: A Reading of the Films Red Cliff 1 and 2, Horizons, Vol. 6 No. 2, ed. by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12.
  ∙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from the Perspective of Empire: Narrative Configur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the Building of an          

    Empire, Horizons, vol. 6, no. 1, ed. by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6. 30. pp.93-110
  ∙ 선진시기 복수의 인문화 양상,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83집, 2015. 5. pp.107-138.
  ∙ ‘G2’시대의 중국문학사 敎學,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78집, 2014. 2. 28. pp. 81-106.
  ∙ 인문의 토대 변이와 중국어문학자의 향방,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77집, 2013. 11. 30.
  ∙ 先秦의 복수 이야기와 그 독법,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76집, 2013. 8. 31.
  ∙ 동태적 인문으로서의 통합적 학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 인문학』, 제3집, 2009. 6. pp.
  ∙ 루쉰과 번역, 한국번역비평학회, 『번역비평』, 제2호, 2008. 12.
  ∙ 稷下學宮과 戰國時代의 글쓰기―『荀子』와 『莊子』를 중심으로,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55호, 2008. 5. 31.
  ∙ 『論語』와 『老子』의 글쓰기 분석―논증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51호, 2007. 5. 31.
  ∙ 수사와 정사와의 거리―흥의 작동방식과 양상, 한국수사학회, 『수사학』, 제5집, 2006. 9.
  ∙ 말 닦기와 뜻 세우기[修辭立其誠](1)―고대 중국인의 수사 담론과 그 저변,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동아문화』, 제43집, 2005. 12.
  ∙ 청말민초의 신흥계층과 그 사유방식―매판 정관응의 경우,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제48집, 2004. 12. 30
  ∙ 신체산문이 매체와 만나는 두 양상,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제45집, 2004. 3. 30
  ∙ 人文敎學의 실현을 위한 제언,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40집, 2003. 11. 30.
  ∙ 근대문학 독법의 다변화를 위한 시도―「己亥雜詩」 읽기를 사례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중국현대문학』, 제24호, 2003. 3. 31.
  ∙ 세계관이 된 진화론―진화론의 중국적 變容 攷, 『동아문화』, 제40집, 2002. 12. 31.
  ∙ 중국 근대의 語文改革運動과 新體 散文에 관한 고찰,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38집, 2002.11.30.
  ∙ 章太炎 국가론의 문화적 기원,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중국현대문학』, 제22호, 2002. 6. 30.
  ∙ 『大同書』에 관한 ‘內向的’ 독법,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37집, 2002.5.31.
  ∙ 文과 政事의 거리―『詩』와 『詩經』의 경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문예비교연구』, 제2호, 2002. 2. 28.
  ∙ 중국의 문학사유와 그 내면,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36집, 2001.11.30.
  ∙ 中唐의 문화변동과 두 차례의 문학운동, 영남중국어문학회, 『중국어문학』, 제35집, 2000. 6.30
  ∙ 20세기 전환기 중국의 문화심리구조,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33집, 2000. 5.31
  ∙ 두 편의 「原道」와 그 문화사적 함의, 영남중국어문학회, 『중국어문학』, 제34집, 1999.12.31
  ∙ 太平天國의 문화관 고찰,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제40집, 1999.12.31
  ∙ 學衡派와 중국신문학의 전개, 발간위원회, 『순재김시준교수송수논문집』, 1995.
  ∙ 中國文學 存在方式 試論, 한국중국어문학회, 『中國文學』, 제22집, 1994.12. 31.
  ∙ 중국 當代 산문 및 보고문학 개황,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자료와 소식』, 제5호, 1994.11.30

  ∙ On Posthuman and Death: Revaluating Chinese Traditional Ideas on Death in Posthuman Era, including Confucius’s, Zhuangzi’s, 

    Tao Yuan-ming’s and Luxun’s
  ∙ Poetic Appropriation of Garden in Bai Ju-yi(白居易)’s Peoms
  ∙ An Informative Article on Systema Phoneticum Scripturae Sinicae(字聲綱目), Published in Macau in 1841.
  ∙ Appropriation of Revenge into the Realms of Humanity in the Pre-Qin(秦) Era On Educating[敎學] Chinese Literary History in the G2 Era
  ∙ Essay on Main Tasks of Researchers for Chinese Literature & Language under the Transition of Foundation for Humanitas
  ∙ Revenge Story of Pre-Qin Period and it’s Reading
  ∙ Inter-disciplinary Studies as ‘Dynamic’ Humanities(人文)
  ∙ A Study of Luxun(魯迅) and His Transration
  ∙ A Study on the School of Jixia(稷下) as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for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its Effect on Xunzi(荀子) and

    Zhuangzi(莊子)’s Écriture
  ∙ A Comparative Study on Writings of Lunyu and Laozi ―― On the Focus of Argument Structure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hetoric and Politics in Ancient China
  ∙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f Rhetoric in Classical China
  ∙ Newly Rising Class and their Way of Thinking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 In Case of Compradore Zheng GuanYing(鄭觀應)
  ∙ On ‘Media-based’ Writing in the Modern China
  ∙ An Essay on Immanent Reading of 「Jihaizashi(己亥雜詩)」
  ∙ Theory of Evolution as World View ―― On the Way of Introducing Imported Ideas 
  ∙ A Study on the Reform of Language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istic Prose in the Early Modern China
  ∙ The Origin of Zhang Tai-yan(章太炎)’s Theory of the State
  ∙ On a Way of Reading Datongshu(大同書) ; For More Introversive Reading
  ∙ An Interval between Liberal Arts[文] and Politics[政事]
  ∙ A Research of Relationship between Forms of Thinking and their Ways of Expression i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ultural Psychology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in China
  ∙ On the Two Literary Movements in the Middle Tang Dinasty
  ∙ A Research of Taiping-tianguo’s View of Culture
  ∙ A Coparative Study on Liuxie’s and Hanyu’s —- From an Aspect of History of Culture
  ∙ An Intrduction to Prose of Contemporary China
  ∙ An Analysis of Existential Mode of Chinese Literary
  ∙ A Study on the Meaning of Xuexiongpai in Chinese Modern Literature


○ 역서
  ∙ 孫歌 著, 류준필․김월회․최정옥 공역, 『아시아라는 사유공간』, 서울: 창비, 2003. 10. 1
  ∙ 이정훈․박상수 편, 김월회 등 역, 『동아시아 인식 지평과 실천 공간』, 서울: 아연출판사, 2010


○ 저서
  ∙ (공저) 김월회ㆍ김헌, 『무엇이 좋은 삶인가―동서양 고전에서 찾아 가는 단단한 삶』, 서울: 민음사, 2020. 12. 1-353
  ∙ (공저) 김월회ㆍ안재원, 『인문정신이란 무엇인가―동서양 고전과 문명의 본질』, 서울: 도서출판 길, 2021. 1. 1-443.
  ∙ 김월회 지음, 『깊음에서 비롯되는 것들―삶터의 인문적 재구성』, 서울: 논형, 2019. 5.
  ∙ 김월회 지음, 『춘추좌전―중국문화의 원형이 담긴 타임캡슐』, 서울: 풀빛, 2009. 5.
  ∙ 김월회 지음, 『살아 움직이는 동양고전들』, 서울: 안티쿠스, 2007. 7.
  ∙ (공저) 『근대어 근대매체 근대문학――근대 매체와 근대 언어질서의 상관성』, 성균관대학교동아시아학술원, 2006.
  ∙ (공저-12명) 『중국의 지식장과 글쓰기』, 서울: 소명출판, 2011. 4.
  ∙ (공저) 『문명 안으로』, 파주: 한길사, 2011.
  ∙ (공저) 『문명 밖으로』, 파주: 한길사, 2011.
  ∙ (공저) 『학문간 경계를 넘어 : 미래의 학문은 어떻게 만나고 소통하고 융합할 것인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 (공저-7명) 『중국 개항도시를 걷다――소통과 충돌의 공간, 광주에서 상해까지』, 서울: 현암사, 2013. 5.
  ∙ (공저-9명) 『중심과 주변의 삼중주』, 서울: 소명출판, 2015. 2.
  ∙ (공저-8명) 『중국학교1, 2』, 파주: 청아출판사 2016. 5, 전체 473쪽 중 194-247쪽 집필
  ∙ (공저) 『고전의 힘, 그 역사를 읽다』, 서울: 현암사, 2016. 8. 29. 1부 <동양편> 13-136.
  ∙ (공저-10명) 『문명장치로서의 이야기――이야기의 형성하는 힘 그리고 중국』, 서울: 소명출판, 2018. 1. 11-78.


○ 교재
  ∙ 김월회 풀어씀, 『고전과 놀이―방법으로서의 논어』, 서울: 서울대출판문화원, 200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