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교수소개

이강재(李康齊) 교수

Lee, Kang-Jae

전공중국어학(經學)
주소인문대학 2동 303호
연락처(02) 880-6066
이메일likangqi@snu.ac.kr

1. 기본 정보 

 

○ 박사학위논문: 《論語》上十篇의 解釋에 대한 硏究(서울대학교, 1998)

 

○ 주요경력:

  [교내]
  · 인문대 기획협력실장(現 기획부학장) (2006. 9.~2008. 8.)
  · 중어중문학과 학과장(2010. 2. ~2012. 1.)

  · 인문학연구원 부원장(2015. 9. 1.~2019. 8. 31.)
  · 기초교육원 외국어 주임교수(2017. 9. 1.~2019. 8. 31.)
  · 인문학연구원 원장(2019. 9. 1.~2019. 11. 20.)
  ·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장(2019. 11. 20.~2022. 12. 31. )

 

  [교외]

  ·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고등교육전문위원회 위원(2018. 12.~2022. 5.)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특별위원회 위원(2023. 1. ~2023. 12.)

  · 교수신문 논설위원(2023. 2.~현재)

 

  [학회]

  · 연강중국학회 회장(2014. 1.~2015. 12.)

  · 한국경학학회 부회장(2015. 3.~2019. 2.), 회장(2019. 3.~2023. 2.)

 

  [포상]

  · 2016년 서울대학교 교육상(2016. 11. 23.)

  · 2020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활성화 발전 표창장(2020. 10. 12.)

 

2. 연구 업적 

○ 논문
  · 이강재, 순자의 주제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02
  · 이강재, 훈고술어 ‘독약’ ‘독위’ 시론, 중국언어연구 3,  한국중국언어학회, 1995-01
  · 이강재, 의문문 문말어기사의 기능 및 특성 연구, 중국문학 24, 한국중국어문학회, 1995-01
  · 이강재, 論語 疑義 硏究(1), 중국문학 27,  한국중국어문학회, 1997-01
  · 이강재, 고대 중국어의 “何(以)XP爲”에 대한 연구, 중국언어연구 7, 한국중국언어학회, 1998-01
  · 이강재, 고대 중국어 어기사 연용 연구, 중국문학 24, 한국중국어문학회, 1998-01
  · 이강재, <<논어>> 상십편의 해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08
  · 이강재, 논어 ‘기위인야효제장’과 ‘자유문효장’의 해석에 대한 연구, 연강중국학논총 1, 연강중국학회, 1999-01
  · 이강재, 중국어의 어기와 그 유형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학지 8, 중국어문학회, 2000-12
  · 이강재,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5, 중국어문논역학회, 2000-06
  · 이강재, <<논어집해>> 고려본은 일본의 정평본인가? 중국문학 34, 한국중국어문학회, 2000-11
  · 이강재, 중한번역:역자와 독자비평 — 유가 경전 관련 문헌의 번역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8, 중국어문논역학회, 2001-12
  · 이강재, <<尙書,堯典>>의 “厥民[析,因,夷,隩]” 考釋, 중국어문학지 10, 중국어문학회, 2001-12
  · 이강재, 대학 교양 한문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중국문학 38, 한국중국어문학회, 2002-11 발행
  · 이강재, 서문:한문과 중국어의 교육 방법 탐구를 위한 길을 떠나며, 중국문학 38, pp.311-319, 한국중국어문학회, 2002-11 발행
  · 이강재, 단기 중국어 연수의 올바른 방향 정립을 위한 제언, 중국언어연구 15, pp.483-495, 한국중국언어학회, 2002-12 발행
  · 이강재, 중국어문학 연구, 교육자의 현황과 수요 변화의 양상, 중국문학 40, pp.265-284, 한국중국어문학회, 2003-11 발행
  · 이강재, 이상의, 문수정, 중국의 언어정책과 중화주의 언어담론, 중국문학 44, pp.285-301,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08 발행
  · 이강재, 문화다원주의와 중화주의 언어담론의 해체, 중국문학 48, pp.1-8, 한국중국어문학회, 2006-08 발행
  · 이강재, 정소영, 「효과적인 중국어 단기 집중 연수 방안 모색」, 『中國言語硏究』第27輯, 韓國中國言語學會, 2008-12 발행
  · 이강재, 「고대 중국의 시호와 단어의 다의적 특성」, 『中國語文學』第54輯, 2009년12월, 嶺南中國語文學會
  · 이강재,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민-관-학 협력 방안, 2013년 인문정신문화 결산포럼 자료집, 2013-12, 단독
  · 이강재, 공맹사상을 통해 본 남북통일, 통일인문학 신규개발 보고서 논문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10, 단독
  · 이강재, 김석영, 이미경, 송홍령, (신)HSK에 대한 한국의 중국어 교육자, 학습자 인식 조사연구, 중국어교육과 연구, 2014-06, 공동(제1)
  · 김석영, 이미경, 손남호, 송홍령, 이강재, 중국어 평가 문항 작성 기법 연구 ― 신HSK, SNULT, FLEX 선택형 문항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5-02,

  · 이예성, 이강재,《논어》 “文莫吾猶人” 再探, 중국문학, 2016-08.
  · 김나래, 김석영, 신원철, 이미경, 손남호, 이연숙, 이강재, 중국 출판 현대중국어 교재의 시기별 현황과 특징 연구, 중국언어연구, 2017-04.
  · 이강재, 경학사의 관점에서 본 조선 전기의 논어 인식, 중국문학, 2017-05
  · 김석영, 김나래, 신원철, 이미경, 손남호, 이연숙, 소민정, 이강재, 중국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중국어교육과 연구, 2017-06.
  · 신원철, 김나래, 김석영, 박종한, 이미경, 손남호, 이연숙, 이강재, 현행 중등 중국어 교과서의 문화요소에 대한 연구, 중국문학, 2017-08.
  · 이예성, 이강재, 논어정의에 나타난 노론(魯論), 인문논총,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05.
  · 김주옥, 이강재, 한유,이고의 『논어필해』 연구, 『경학』제1집, 한국경학학회, 2020-02
  · 이강재, 4차 산업혁명 인문학 학술정책 방향, 『멀티미디어학회지』 제23권제1호,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0-04
  · 손남호, 김나래, 신원철, 이강재, 이미경, 이연숙, 김석영, 해외 중국어 교육기관의 중국어 교수학습 유형과 교수매체 사용 양상, 『언어와 정보 사회』 제40집,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501-529쪽, 2020-07
  · 신원철, 소민정, 손남호, 김나래, 이강재, 이미경, 이연숙, 김석영, 중국어 교수학습 앱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중국문학』제104집,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08

  · 이강재,경학 연구자의 관점에서 본 AI 프로그램 활용의 현재와 과제,경학5, 한국경학학회, 2023.6

  · 이강재,문헌 연구로서의 경전 연구 논어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학6, 한국경학학회, 2023.12 외 다수
 

 

○ 번역
  · 이강재, 논어고주고석(1), 중국어문논역총간 8, pp.??-??, 중국어문논역학회, 2001-12 발행
  · 이강재, 김효신, 유월의 논어평의 평역(1), 유교문화연구 3, pp.299-329,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2-02 발행
  · 이강재, 韓國《論語》學著作提要(중국어), 中國文哲硏究通訊 12, pp.185-244, 대만 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 2002-06 발행
  · 이강재, 김효신, 유월의 논어평의 평역(2), 유교문화연구 4, pp.215-239,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2-08 발행
  · 이강재, 논어고주고석(2), 중국어문논역총간 9, pp.357-386, 중국어문논역학회, 2002-06 발행
  · 이강재, 논어고주고석(3), 중국어문논역총간 10, pp.273-297, 중국어문논역학회, 2002-12 발행
  · 이강재, 김효신, 유월의 논어평의 평역(3), 유교문화연구 5, pp.159-186,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3-02 발행
  · 이강재, 논어고주고석(4):태백,자한 2편, 중국어문논역총간 11, pp.265-289, 중국어문논역학회, 2003-07 발행
  · 이강재, 김효신, 유월의 <논어평의> 평역(4) – 향당, 선진 2편 -, 유교문화연구 6, pp.301-338,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3-08 발행
  · 이강재, 김효신, 유월의 <<논어평의>> 평역(5), 유교문화연구 7, pp.335-354,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4-02 발행
  · 이강재, 논어고주고석(5):향당,선진 2편, 중국어문논역총간 13, pp.293-320, 중국어문논역학회, 2004-07 발행
  · 이강재, 김효신, 유월의 논어평의 평역(6) – <헌문>, <위령공>, <미자> 3편 -, 유교문화연구 8, pp.353-384,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4-08 
  · 이강재, 韓國<<孟子>>學著作提要(중국어), 中國文哲硏究通訊 14, pp.133-184, 대만 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 2004-09 발행
  · 이강재, 韓國<<大學>>學著作提要(중국어), 中國文哲硏究通訊 14, pp.153-189, 대만 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 2004-12 발행
  · 이강재, 논어고주고석(6)-안연,자로,헌문 3편, 중국어문논역총간 14, pp.377-415, 중국어문논역학회, 2005-01 발행
  · 이강재, 김효신, 유월의 논어평의 평역(7) – <양화> 이하 4편 -, 유교문화연구 9, pp.401-429,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5-02 발행
  · 이강재, 韓國<<禮記>>學著作提要(중국어), 國際漢學論叢2, pp.55-116, 대만 學生書局, 2005-02 발행
  · 이강재, 논어고주고석(7)-위령공,계씨,양화 3편, 중국어문논역총간 15, pp.375-406, 중국어문논역학회, 2005-07 발행
  · 이강재, 韓國<<中庸>>學著作提要(중국어), 中國文哲硏究通訊 15, pp.161-195, 대만 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 2005-03 발행
  · 이강재, 논어고주고석(8), 중국어문논역총간 17, pp.307-329, 중국어문논역학회, 2006-01 발행

 

○ 서평
  · 이강재, 유가의 주요 개념 이해의 난점과 그 극복, 철학사상 22, pp.307-316,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6-06 발행

 

○ 저서
  · 이강재, 『고려본 논어집해의 재구성』, 학고방 [서울], 2010-04
  · 이강재, 『여섯 가지 주제로 들여다보는 <논어>』, 지경사 [서울], 2013-01

  · 이강재, 『논어처럼 이끌어라』, 21세기북스, 2023. 1.

 

○ 번역서
  · 이강재, 『논어-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조화』, 도서출판 살림, 2006-01
  · 이강재, 김효신, 『고증학자는 논어를 어떻게 읽었나』, 도서출판 학고방, 2006-07
  · 이강재, 『고대중국어어휘의미론』, 차이나하우스, 2012-04
  · 이강재, 『중국문화와 한자』, 역락출판사, 2013-03
  · 김혜영, 문수정, 신원철, 안소민, 이강재, 『고대중국어 : 한문학습의 길잡이(郭錫良, 唐作藩, 何九盈, 蔣紹愚, 田瑞娟 편저)』, 역락출판사, 2016-01
  · 신원철, 김혜영, 이강재, 『고대중국어문법론(李佐豊 저)』, 역락출판사, 2018-12

 

○ 교재
  · 이강재, 이미경, 자오펑옌, 『The Chinese 중국어의 길 (1)』, 길벗 이지톡, 2014-02
  · 이강재, 이미경, 자오펑옌, 『The Chinese 중국어의 길 (2)』, 길벗 이지톡, 2014-02
  · 이강재, 강민호, 『풀어쓴 대학한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 2015-08
  · 이강재, 이미경, 자오펑옌, 『중국어의 신(1)』, 동양북스, 2019-08(『The Chinese 중국어의 길 (1)』의 완전 개정판)
  · 이강재, 이미경, 자오펑옌, 『중국어의 신(2)』, 동양북스, 2019-08 (『The Chinese 중국어의 길 (2)』의 완전 개정판)

 

○ 편저
  · 이강재 편, 『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 [김형갑 저], 역락출판사, 2014-06

 

○ 북 챕터
  · 이강재, 「인문학자 공자 그의 삶과 이상」, 『스무살, 인문학을 만나다』, 도서출판 그린비, 2010-0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기획도서]
  · 이강재, 『언어연구에 근거한 고전번역의 탐색」, 『자타와 고금의 소통을 위한 길 찾기』, 2013-12 [숭실대학교 중국어문논역학회 기획도서]
  · 이강재, 「朝鮮前期對《論語》的認識」, 《東亞命運共同體》(제1회 산동포럼 논문집), 29-38쪽, 산동대학출판사, 2019-01 (2017, <경학사의 관점에서 본 조선      전기의 논어 인식>의 중국어 번역 재수록임)
  · 이강재 외, 「한자의 응용과 미래」, 『한자의 역사』(경성대학교 HK사업단), 역락출판사, 2020-04.

  · 이강재, 나이듦에 대한 공자의 인식, 나이듦에 대하여, 사회평론아카데미, 2024-01 [인문학 공동연구 총서]

  · 이강재, 서설 : 우리는 무엇을 욕망하는가?, 욕망에 대하여, 사회평론아카데미, 2024-06 [인문학 공동연구 총서]

  · 이강재, 공맹이 사유한 리더의 공적 욕망과 사적 욕망, 욕망에 대하여, 사회평론아카데미, 2024-06 [인문학 공동연구 총서]